공지 및 건의

한국수입육협회는 수입육의 위생 품질 및 안전성 향상을 도모합니다.

  • 공지사항
  • 건의사항
  • 관세환율
  • 관세율표

2009년 6월 축산관측정보(한국농촌경제연구원)

2009-05-28

33

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년 6월 축산관측정보입니다.

 

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에서 2009년 6월 축산관측정보입니다.

상세한 내용을 원하시면

 

http://aglook.krei.re.kr/kor/agreport/livestock/yoyak.php?sCd=20

 

를 방문하시면 됩니다.

 

 

<한육우>

■ 6~8월 한우 산지가격 전반적 상승세 전망-사육두수 증가세도 지속

- 한육우 사육두수 증가세 지속 전망, 사료가격 인하 기대에 따른 송아지 입식수요 증가로 사육두수 증가세 지속 전망 , 6월 한육우 사육두수 258만 5천 두, 9월 261만 2천 두 전망

- 쇠고기 수입량 전년대비 감소,

- 한우고기 수요 증가 - 환율 상승 등으로 1∼4월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대비 2.8% 감소 , 거세우 비중 감소로 한우 1등급 출현율은 소폭 하락

- 거세우 비중 2008년 67.8%→2009년 63.9%, 1등급 출현율 54.0%→53.6%, 저가 정육점형 식당 증가 및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시행으로 한우고기 수요는 전년대비 증가

- 한우 전국 평균 산지가격 전반적 상승세 - 2009. 5월(1∼21일) 한우 전국 평균 산지가격은 수소 372만원(전년대비 1.4% 상승), 암소 467만원(4.9% 상승), 수송아지 195만원(11.9% 상승), 암송아지 171만원(2.9% 상승)

- ‘09. 6~8월 한우 전국 평균 산지가격은 4∼6% 상승 전망 - 한우고기 수요 증가로 수소가격 410~420만원(전년 대비 3.9% 상승), 암소 495~505만원(6.6% 상승) 전망, 사료가격 인하 기대 등으로 송아지 입식수요가 증가하여 수송아지 산지가격은 195~205만원(5.1% 상승) 전망,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거세비육을 통한 고급육 생산에 집중할 필요. 1++등급은 3등급보다 87%나 높은 도매가격(전국 평균 18,246원/kg)을 형성, 거세비육을 통해 고급육 생산에 전념하여 농가소득 증대 필요

 

 

<돼지>

■ 6~8월 돼지 지육가격 강세 전망 -돼지고기 소비 의향 회복세

- 폐사두수 감소로 6월, 9월 돼지 사육두수는 전년 동월보다 증가 전망

- 사료비 부담이 여전하여농가 폐업이 증가함에 따라 2009년 1~3월 모돈 수는 1.0% 감소

자가조직백신 시행으로 폐사두수가 감소하여 6월 사육두수는 전년 동월 대비 1.0% 증가한 925만두, 9월 사육두수 1.7% 증가한 945만 두 전망

- 사육두수 증가에 따라 출하두수 증가, 수입량 증가, 돼지고기 소비의향 회복세 전환

- 6∼8월 출하두수는 전년대비 1.1% 증가 전망

- 환율안정과 높은 국내가격으로 돼지고기 수입량 증가 전망

- 신종인플루엔자 발생에도 소비량을 줄이지 않겠다는 의향 - 1차(4.28) 22.2% ⇒ 2차(5.7) 42.8% 급증

- 6∼8월 돼지 전국 공판장 평균 지육가격은 kg당 4,800~4,900원 전망

- 생산량 증가,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불안 해소와 국내산 돼지고기 수요 증가로 돼지가격은 상승할 전망

- 6~8월 돼지 전국 공판장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3% 정도 높은 kg당 4,800~4,900원(성돈 110kg 기준 36∼37만원)전망

- 재고부족에 따른 국내산의 비축 수요가 있는데다 돼지고기 소비의 성수기를 맞게 되므로, 돼지고기 전국 공판장 평균 지육가격은 일시적으로 5천원 돌파 가능성

 

 

<육계>

■ 닭고기 총공급 감소로 6월 육계 가격 강세 전망

- 6월 육계 사육수수는 전년 동월보다 2.0% 증가한 7,699만 수 전망

- 2009년 4월 종계 산란율은 2008년 평균(60%)보다 2.0%p 상승, 5월 병아리 발생률은 전년 동월대비 0.6%p 상승하는 등 종계 생산성은 다소 회복된 상태

- 종계 생산성이 다소 회복되어 5월 병아리 생산수수는 전년보다 2.2% 증가

병아리 생산수수 증가로 6월 육계 사육수수도 전년 동월보다 2.0% 증가 전망

- 비축 및 수입량 감소로 6월 닭고기 공급량은 전년 동월보다 13% 감소 전망

- 6월 도계수수는 전년 동월보다 2.2% 증가 전망, 비축물량은 139만 수에 불과

-국제 닭고기 가격 상승과 고환율로 6월 수입량도 전년 동월보다 40.8% 감소한 4천 5백 톤(약 585만 수) 추정

-더위가 시작되는 6월은 5월보다 닭고기 소비가 증가하는 시기

-공급이 감소하여 6월 전국 평균 육계 산지가격은 kg당 2,100∼2,300원 전망

-도계수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비축 및 수입량 감소로 닭고기 총공급량이 감소하여 2009년 6월 육계 가격은 전년 동월(1,408원)에 비해 크게 상승한 2,100~2,300원 전망

■ 종계 노계도태가 지연되면 비수기인 금년 8월 중순 이후 가격 급락 우려

close

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.

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주소가 전자우편

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방법을

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,

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

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